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혼합에서 완모까지 ㅡ 2. 젖양부족 극복하기

생후 25일 직수 성공
생후 59일 혼합에서 완모로
백일앞둔 초보맘의
모유수유 기록




조리원에서는 젖양이 부족하지 않았다
직수는 아기가 물지않아 못했지만
유축은 3~4시간 간격으로 착실하게 했다
아무도 궁금하지 않겠지만
조리원에서의 나의 유축 기록
젖양이 줄까봐 새벽에도 알람맞춰가며 정말 열심히 했다
유축양은 평균 100cc 정도였다
(마지막 3일동안은 쭈쭈베이비로 직수하면서 유축을 몇번안했다)



조리원 퇴소후 분유보충 없이 직수(쭈쭈베이비 사용)만 했는데
잠도 잘 못자고 피곤해서인지
젖이 갑자기 줄어든 느낌이었다
또 조리원 퇴소후 3일동안 아기는 변을보지 않았다 (젖이 부족한걸까?)
체중계가 없어서 체중이 잘 늘고있는지 확인이 불가했다
남편에 의하면 수유후에도 배부르거나 만족스러워 보이지 않았으며 너무 자주 배고파 하는것 같다
모유수유가 잘 되고 있는건지 불안했다

퇴원후 아기 성장이 잘 되고있는지 확인을 위해서는 소아청소년과 진료가 필요하다고 삐뽀삐뽀에서 배웠다

조리원 퇴소 4일차
불안한 마음을 안고
대한모유수유의사회 선생님이있는 병원에 모유수유 상담을하러 내원했다

출생시 체중 2.56
조리원 퇴소전날(15일) 체중은 2.97
진료본날(19일) 체중은 3.1
4일동안 130g 증가

의사선생님은 프로그램에 체중을 넣어보시고는
백분위가 떨어졌으며 체중증가가 충분하지 않으니
모유량 부족으로 진단받았다
보충수유를 권하셨고
수유후에는 유축을해서 젖양을 늘리라고 했다

대변은 좀 더 지켜보자 그랬다
나중에 검색후 알게된 사실은
모유수유 아기들은 우리아가처럼 변을 자주 보지않기도 한다는 사실이다
5일이상 안보기도하며 (이때는 엄청 양이 많음. 똥폭탄이다 😅ㅎㅎㅎ)
우리아기의 최장기록은 6일이다
100일을 앞둔 지금은
1~3일에 한번 대변을 본다
양상은 변비양상이 아니기에 몇일 못보더라도 걱정하지않고 대변볼때마다 기뻐해주고 있다~~



내가 실행한 젖양 부족 극복방법을 이야기 하기전에
올바른 수유의 중요성에대해서 이야기해보겠다

조리원 퇴소당시
젖만물면 자는 아기 깨우기가 그렇게 힘들었다
한쪽 먹고 반대쪽을 물리려면 깊은잠에빠져 물리기가 고난이도였다
그래서 양쪽 수유 보다는 한쪽만 오래(20분~30분) 물리는 수유를 했고
이방법은 올바른 방법이 아님을 나중에 알게된다
(젖양이 많고 아기의 체중증가가 괜찮을경우엔 가능함)
한쪽만 오래 물린다고 많이 먹는것은 아니며
효과적인 수유를 위해서는 양쪽다 먹여야 한다

그리고 수유횟수가 8회정도였는데
이것이 나의 가장 큰 실수였던것 같다
먹은지 얼마안되서 배고픈건 아닐꺼라고 달래기만했는데
이론으로는 배고플때마다 물리는거라고 그렇게 공부했건만
왜 실전에서는 적용하지 못했을까 ㅠㅠㅠ
다시돌아간다면 울때마다 물려봤을거같다ㅠㅠㅠ

조리원 퇴소후 올바른 수유를 했더라면 젖양부족 진단까지는 가지않았을것 같다
그만큼 올바른 수유가 중요하다

본인의 수유가 올바른 자세, 방법, 시간으로 하고있는지 우선 파악해보자


😃모유량 늘이기😄




1. 직수후 30분이내로 유축하기
이론적으로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 생각한다
직수->보충수유->유축
을 시행했고
이때가 모유수유 하면서 가장 힘든시기였다
처음에는 의욕 뿜뿜으로 시작했으나
직수30분이상(깨워가면서 먹이다보면 30분 훌쩍넘긴다ㅠㅠ), 보충수유, 트림, 유축 양쪽동시에 15분정도
매수유마다 1시간정도 소요되고
보충수유 젖병, 유축기 설거지+소독 까지......
날이갈수록 몸과 마음에 지쳐갔다

남편이나 관리사님 있을때는 보충수유를 토스하고 바로 유축했지만
아무도 없을때는 보충수유까지 하다보면 직수후 30분이내로 유축시간 맞추기도 빠듯했다
밤중수유를 해야 젖양이 늘기에
새벽에도 수유후 피곤하지만 꾸역꾸역 유축했다

3주정도 직수후 유축을 열심히 했다
그이후에는
피폐해져가는 나의 몸과 마음
젖양이 느는것 같음
(실제로 직수후 유축량이 늘었다)
모유사랑, 맘스리베에서 유축 안하길 권장함
(유두 컨디션때문 + 완모로 가기위함)
(하지만 대한모유수유의사회 선생님은 보충수유를 끊기전까지 유축을 지속하길 권함)
으로 유축 횟수를 줄였고
보충수유량을 줄이면서 유축도 중단했다

2. 잘 먹고 잘 쉬기

3. 물 많이 마시기

4. 가슴마사지




다음은 본인이 진짜 젖양부족인지 파악하는데 도움될 내용들이다

잘 자고 잘 먹는 아기의 시간표 책 내용중 일부분
모유가 부족하다는 착각
젖을 먹인 후 분유를 먹이면 또 먹는다
젖을 먹인 후 입 주변을 건드리면 계속 오물거린다
젖을 먹고 한 시간밖에 지나지 않았는데 또 배고파한다
젖이 돌거나 흐르는 느낌이 없다
젖을 짜보면 모유량이 많지 않다

삐뽀삐뽀 정유미TV 젖양 부족에 대한 오해
가슴이 작다
젖이 돌거나 차는 느낌이 없다
아기 입에 손 대보면 계속 빨려고 한다
유축량이 적다
양쪽 수유 후에 분유를 더 먹는다
많이 보챈다
아기가 잠을 잘 못잔다



박경숙아카데미의 영상도 참고하면 좋은 내용이다!


위의 잘못된 오해들은
나도 다 경험했던 내용이다~~~
특히 주변에서 가족들의 반응
젖먹고 분유를 잘먹는거보니 젖이 부족하구나
입을 오물거린다. 배고픈거 아니냐?
젖이 땡땡하지 않은거보니 젖이 부족한거아니냐?
뱃고래가 안빵빵하다는 산후도우미


(혼합수유에서 완모로 넘어갈때)





젖양을 가늠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은
출생시와 비교해서 아기의 성장(체중 증가)확인 이다!!!!!
아기는 출생시 체중 마다
자라나면서 개월수 마다
체중 증가폭이 다 다르다
일주일에 몇그람
한달에 몇그람 이렇게 획일적으로 판단할순 없다

성장 퍼센타일 그래프로 확인하면 되는데

1. 베이비타임 어플의 표준 성장곡선
(2017년 성장도표 채용)

2. 2006 세계보건기구 성장표

3. WHO 성장표

중에서 골라쓰면 되겠다
나는 사용이 편리한 베이비타임을 사용중이다

2017년 소아청소년 성장도표인경우 3세미만은 WHO 성장표를 사용하므로
사실상 1,2,3 은 동일한 자료라 할수있겠다
(하지만 수치 입력시 결과값은 다르게 나오는데 왜그런지는 모르겠다)


출생시 퍼센타일을 기준으로
체중증가가 되고있다면
잘 자라고 있는거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