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2
임신 21주차에 2차 정밀초음파를 시행했다.
내가 다니는 봄빛병원에서의 검사 항목들을 기록하고
보더라인 항목들도 기록해보겠다.
2차 정밀초음파 검사 항목, 용어
척추뼈 확인태아 수신증 (Fetal hydronephrosis)
수신증은 신장 내의 신우(Pelvis)와 신배(Calyx)가 확장된 것을 말합니다. 흔히 콩팥이 부었다, 콩팥이 늘어났다, 혹은 콩팥에 물이 찼다고 표현합니다.
태아수신증은 비교적 흔히 볼 수 있는 이상으로 100명의 태아 중 1명 꼴로 발견됩니다. 산전에 초음파를 통해 신장이 늘어난 정도를 측정하여 그 심한 정도를 구분하게 됩니다.
Renal pelvis diameter (RPD)
- 가장 일반적으로 태아 수신증을 정의하고 등급을 매길 수 있는 방법으로 Renal pelvis의 앞에서 뒤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임신 2분기와 3분기에 RPD를 측정하여 태아 수신증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임신 2분기에 측정하였을 때 4 ~ 5 mm를 태아 수신증의 기준으로 사용합니다.
- 임신 2분기에서 RPD가 4 ~ 10 mm 일 경우 Mild renal pelvic dilation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대부분은 호전이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10mm 이상인 경우에서는 신장과 요로계기형이 동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임신 3분기에 15 mm 이상인 경우에서는 요로계 기형의 위험도가 가장 큽니다.
쫑쫑이는 4mm정도로 보더라인이다.
담당 의사선생님은 10mm 이상 아닌경우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으며
앞으로 더 커지지 않는지 확인해보자 그랬다.
BPD(Biparental Diameter) : 위에서 볼 때 머리 단면의 가장 긴 길이
BPD로 임신 주수(GA, Gestational Age), 출산예정일(EDD, Expected Date of Delivery)을 예측해볼 수 있다.
HC(Head Circumference) : 머리 둘레
모르는 항목들
Cereb(Cerebellum) : 소뇌 크기
CM(Cisterna Magna) : 소뇌 뒤쪽 공간인 뇌수조 - 1cm 미만이 정상
Lateral ventricle : 측내실 - 1cm 미만이 정상
1cm 이상에서는 뇌실이 커지는 질환인 수두증을 의심해 볼 수 있다.
Va(anterior horn of the lateral ventricle)
Vp(posterior horn of the lateral ventricle)
AC(Abdominal Circumference) : 복부 둘레
AC로 임신 주수(GA, Gestational Age), 출산예정일(EDD, Expected Date of Delivery)을 예측해볼 수 있다.
FL로 임신 주수(GA, Gestational Age), 출산예정일(EDD, Expected Date of Delivery)을 예측해볼 수 있다.
HL(Humeral Length) : 상완골(팔) 길이
HL로 임신 주수(GA, Gestational Age), 출산예정일(EDD, Expected Date of Delivery)을 예측해볼 수 있다.
EFW(Estimated Fetal Weight) : 태아 추정 체중
BPD, HC, AC, FL로 태아 추정 체중을 계산해볼 수 있다.
쫑쫑이의 21주 몸무게는 492g 주수에 맞게 잘 크고 있다~











































댓글
댓글 쓰기